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며 전국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으며, 뉴스에서는 연일 '기후 변화'로 인한 장마패턴의 변화에 대해 보도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장마, 우기 패턴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장마의 원인과 기후 변화가 장마에 미치는 영향, 장마와 폭우에 대비하기 위한 몇 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마의 원인 : 동아시아 몬순시스템
"제5의 계절"이라 부르기도 하는 장마는 대한민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인접국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하계 기후의 특성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장마전선이 공급하는 강수량은 전체 강수량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여 한반도에 위치한 대부분의 하천은 매우 높은 하상계수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장마는 동아시아 몬순(monsoon) 시스템에 영향을 받습니다. 동아시아 몬순시스템은 대규모 대기 순환패턴으로 계절에 따라 바람이 역전되어 우기와 건기, 즉 강수가 많거나 적은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여름(6월~9월) 동안 동아시아 몬순은 남중국해에서 시작해 북태평양 고기압 확장 또는 북진과 더불어 중국, 일본, 한반도 등 동아시아 국가에 장마를 일으킵니다. 반대로 겨울철(12_3월)에는 몬순이 역전되어 아시아 대륙의 건조한 기단이 남쪽으로 흐릅니다. 이것은 주변 해양에 비해 아시아대륙이 강하게 냉각되고 육지에 고압 시스템을 생성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건조한 겨울 몬순은 동아시아 전역에서 더 차갑고 건조한 조건을 만듭니다. 이러한 장마패턴은 매해 장마의 시기와 강수량 등을 예측하고 대비하게 하였으나 지구의 꾸준한 기후 변화에 의해 점점 더 예측과 대비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가 장마(우기)에 미치는 영향
기후 변화는 강수 패턴의 변화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장마의 시기, 강도 및 기간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우기가 시작되는 시기를 변화시켜 어떤 지역에서는 건조한 시기가 길어지거나 다른 지역에서는 강우량이 증가하여 장마철에 더 빈번하고 심한 폭풍이 발생하도록 합니다. 장마를 발생하게 하는 몬순 시스템에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데, 남아시아 및 서아프리카 몬순과 같은 몬순 시스템은 특히 기후 변화에 취약합니다. 온도와 대기 순환패턴의 변화는 몬순 시스템의 위치와 강도를 변화시켜 장마 기간 동안 강우량과 강우 패턴에 영향을 끼칩니다. 폭염과 폭우가 하루에 모두 일어날 수 있으며 시간당 강수량을 증가시키기도 합니다. 이것은 최근 우리나라에 발생하고 있는 기록적인 폭우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기후 변화는 또 열대 저기압과 같은 허리케인을 포함한 극한 기상 현상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강렬한 폭풍과 폭우를 일으켜 국지적인 홍수와 광범위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며, 장마기간에 일어날 수 있는 폭풍, 폭우의 시기와 빈도를 예측하기 어렵게 합니다. 장마 패턴의 변화는 물 가용성 및 관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장마가 짧아지거나 강우량이 불규칙해지는 지역에서는 물 부족이 악화되어 농업, 식수 공급 및 수력 발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강우량이 증가하는 지역은 물 관리 및 홍수 통제가 어려워지며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강우량의 변화는 강 생태계, 습지, 해안 지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강우패턴에 의존하는 동물과 식물의 생존을 위협하며 종 구성과 생태계 전반에도 영향을 줍니다. 최근 우리나라에 막대한 양의 비를 뿌리고 있는 '대기의 강'은 기후 변화, 즉 지구가 더워짐에 따라 점점 더 위험해지고 있습니다. 보통 열대지방에서 시작되어 이동하다가 육지를 만나면서 많은 비로 떨어지는 '대기의 강'은 우리나라 여름철 북태평양 고기압의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 발달합니다. 최근 몇 년 새에 우리나라에서도 장마기간에 발생하여 집중호우의 원인이 되고 있는데, 지구 기온 상승에 따라 훨씬 더 많은 수증기를 머금을 수 있게 되고 훨씬 더 많은 양의 비를 내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 강력한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장마(역대급 폭우)에 대비할 것들
기록적인 집중 호우에 대비하기 위해 개인이 할 수 있는 일로는 첫째, 집 주변의 배수구를 살피는 일입니다. 배수구에 쌓인 쓰레기와 낙엽 등의 이물질은 빗물의 배수를 방해하여 큰 피해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상습침수지역에서는 대피로, 지정된 대피 장소, 헬기장 위치를 숙지하고 전화 등의 통신수단을 확보합니다. 지하 주차장 등 낮은 지대의 차량을 이동시키고 수시로 기상 정보를 체크하며, 위험지역 근처에 가지 않는 등 장마의 피해를 줄이고 가족과 이웃의 안전을 지키도록 합시다.
'하나뿐인 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중립포인트제도와 적립 가능한 친환경제품 (0) | 2023.07.19 |
---|---|
플라스틱 대체용품과 일상속의 실제 제품사례 (0) | 2023.07.18 |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과 기후 변화의 연관성 (0) | 2023.07.16 |
미세먼지의 발생원인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감소방안에 대하여 (0) | 2023.07.15 |
해양쓰레기의 종류와 바다에 미치는 영향, 완화 대책 (0) | 2023.07.14 |